본문 바로가기
mathematics

Statistics- 모집단(Population) 과 표본(Sample)

by 앵남(Andy) 2021. 10. 19.

글 개요

http://www.kmooc.kr/courses/course-v1:SookmyungK+SM_sta_004k+2019_03SM_02/course/ 

 

강좌 | SM_sta_004k | K-MOOC

 

www.kmooc.kr

이번 포스팅부터 K-MOOC의 통계학의 이해 강의를 듣고 강의내용을 정리하려고 합니다. 

 

글 본문

통계학적 관점

아래 동영상을 예로 통계학적 관점을 살펴보겠습니다.

http://www.pandora.tv/view/bkhee0905/33733119/#30831852_new

500원짜리 동전을 돌렸을 때 학이 나올 확률이 70%정도 

  - 관심 또는 연구 대상(문제, 주제, 가설)을 설정합니다. 

 

500원짜리 동전을 1000번 돌리는 실험

  - 실험을 통해 자료를 수집

 

실험 결과 1000번 중 학이 679번이 나왔다.

  - 자료를 정리, 요약, 분석하여 자료의 특성을 파악

 

 

학이 나올 가능성은 70%정도 된다.

  - 자료의 특성을 이용하여 연구 대상에 대해 추론

 

동영상에서 관심 또는 연구대상이 500원짜리 동전을 1000번 돌렸을 때 학이 나올 확률이 70%인가?? 입니다.

그래서 동영상에서 나온것처럼 500원짜리 동전을 1000번 돌리는 실험을 합니다.

100번을 돌리면서 공책에 실험 결과를 수집합니다. 실험 결과가 1000번 중 학이 679번이 나온것을 알고 자료를 정리합니다. 그래서 실험을 통해 결론이 학이 나올 가능성은 70%이다. 자료를 통해 연구 대상에 대해 추론을 하였습니다. 

 

모집단(Population)

잘 정의된 연구목적과 이와 연계된 명확한 연구대상을 설정합니다. 

예를들어 대통령 후보의 지지율 ---> 유권자가 연구대상

연구대상이 되는 모든 개체의 집합 

 

전수조사

모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조사하는경우

예를들어 조선시대의 임금 27명의 수명자료 --> 전체대상 

대부분의 모집단은 매우 커 전체를 조사하기 어렵다. 또한 막대한 비용이 들어간다. 그래서 적절한 방법으로 일부의 자료를 추출하여 조사합니다. 

 

표본(Sample)

모집단으로부터 선택된 일부의 개체

예 각 여론조사에 참여한 유권자들 

그렇다면, 모집단에서 표본을 추출할 때 랜덤하게 추출해도 될까?는 위험한 실험이 된다. 편향(bias)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위험하다. 그렇다면 어떻게 표본을 추출해야할까? 이 추출된 표본이 진짜로 모집단(우리가 연구하고자 하는 대상)을 대표할 수 있을까? 

 

모집단1(우리가 연구하고 싶은 대상)  모집단1 에서 일부자료를 수집한다 표본  표본에서 다시 모집단2을 수집한다. 

만약에 모집단1에서 잘못된 표본을 추출하게 된다면 이상해진다.결국 모집단1과 모집단2 결과가 이상하게 나온다.

 

댓글